개발/트러블 슈팅

문제 gradle에 해당 useJUnitPlatfrom()이 있으면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ProjectNameApplicationTests 에서 contextLoads() 메소드가 implementation 테스트를 실행시킨다. implementation 테스트는 무엇인가? 예) 데이터베이스 연결이 되는지 테스트 예) REDIS 연결이 되는지 테스트 class ProjectNameApplicationTests { @Test void contextLoads() { } } 방안 Mocking을 사용하여서 하는게 더 좋은 방향인거라고 피드백을 받았었다.
사건 해당 오류는 Redis에서 접근이 안돼서 생긴 문제 AWS ElasticCache for Redis는 보안상 같은 VPC내의 EC2만 접근이 가능하다. 그래서 Github Action에서는 빌드가 안되는 현상이 일어난 것 해결 그래서 제외를 해줘야하는데 테스크 코드는 유지하고 Redis Connection만 예외를 하고 싶었다. 밑의 JUnit을 테스트 허용하면 위의 Redis Connection이 무조건 체크가 된다. 그래서 아래를 제외 해주거나 gralde build -x 로 테스트를 안하고 진행을 해야한다. test { useJUnitPlatform() }
다운로드 다 하고 빌드 진행을 한다. 기다리면 됩니다..
문제 ibatis -> mybatis로 마이그레이션 중에 생긴 오류 mybatis에서 selectOne method를 사용해서 받아올때 null로 받아와서 오류가 발생 ibatis는 select method를 사용해서 받아오는데 null 아닌 Map안에 value가 null임 그래서 두개의 차이를 뭔지 파악을 시도 ibatis, mybatis 둘 다 콘솔에 찍히는 SQL문을 실행해보면 동일하게 뜬다 원인 mybatis의 selectOne @Override public T selectOne(String statement, Object parameter) { // Popular vote was to return null on 0 results and throw exception on too many. Lis..
문제 로그인을 하면은 세션을 저장을 하는데, 로그인 후 대시보드 페이지에 들어가면 세션이 없어서 다시 로그인 페이지로 돌아옴 해결 크롬 정책이바뀌어서 쿠키 자체가 생성이 안됐던건데, 응답헤더에서 setCookie 할 때 samesite=none 속성이 붙어있어서 지워줬음 톰캣 server.xml에서 지워주니까 정상 작동 하였음 참고 Spring Session과 Cookie SameSite 정책 Intro SpringBoot 1.5 버전에서 2.5 버전으로 마이그레이션 작업이 대부분 완료 되었는데 SAML을 이용한 SSO 로그인 부분에서 굉장히 오래동안 해결하지 못하던 문제가 있었습니다. 분명 해당 부분의 코 shanepark.tistory.com Tomcat 8.5.X Chrome SameSite=non..
1. 프로젝트 클린 (실패) 2. 톰캣 클린 (실패) 3. servlet-context.xml 등록 됐음 (실패) 4. Service 이름 일치 확인 (실패) 5. class 재확인 (성공) DispatchServlet -> HandlerMapping -> Controller -> Service -> Dao -> DB -> ViewResolver -> View 여기에서 Service의 Bean 오류가 발생 @Resource(name="TestService") 에서 해당 Service Bean을 못가져오는 상황 @Service("TestService") public abstract class TestServiceImpl implements TestService abstract가 왜 들어갔는지는 모르겠지만...
1. 프로젝트 클린 (실패) 2. 톰캣 클린 (실패) 3. org.eclipse.wst.server.core 폴더 삭제 후 이클립스 재시작, 아파치 톰캣 다시 추가 (성공) workspace\.metadata\.plugins\org.eclipse.wst.server.core\tmp1에서 프로젝트들 불러오는데 원인파악은 못했지만 해당 tmp1 폴더의 cwc의 몇개 파일들이 삭제가 됐음 그래서 삭제 후 다시 아파치 톰캣 추가 후 서버 실행하니까 재생성 되면서 정상작동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사용해서 로그 깨끗하게 나오게하고 있는데 2개씩 나와서 확인해보니깐, DB 커넥션 할때 DriverClass를 net.sf.log4jdbc.DriverSpy 사용하고 Url에 프로토콜 log4jdbc로 접근 이 상태에서 이미 log4j를 띄워주는데 프록시로 또 로그를 띄워주고있으니깐 당연히 중첩돼서 2개 뜨는거였음 전: Globals.mysql.DriverClassName=net.sf.log4jdbc.DriverSpy Globals.mysql.Url=jdbc:log4jdbc:mysql://{IP:PORT}/{DB}?characterEncoding=utf-8&allowMultiQueries=true Globals.mysql.UserName = {ID} Globals.mysql.Passwo..
회사에서 Maria DB에 Mybatis로 SELECT에 JSON_VALUE를 사용해서 JSON 데이터를 가공해서 EgovMap으로 받는데 이상하게 메모리 주소값인지 뭔가를 받는다. CAST 사용해서 CHAR로 변환하니까 정상적으로 받아옴 밑의 전, 후 데이터 결과는 id를 제외한 상태로 보여준 것 전: SET @title = 'Dynamics 365 Commerce'; SELECT CONVERT(JSON_VALUE(OFFER_JSON, REPLACE(REPLACE(JSON_SEARCH(OFFER_JSON, 'one', @title, null, '$.items[*]'), '.name', '.id'), '"', '')), CHAR) as offerId ,JSON_VALUE(OFFER_JSON, REPLAC..
blablax5
'개발/트러블 슈팅' 카테고리의 글 목록